자료구조3 Deque(덱) 오늘은 자료구조중에 하나인 Deque(덱)에 대해 정리해본다. 덱은 스택이나 큐와는 다르게 앞으로도 뒤로도 삽입과 삭제가 가능한 자료구조이다. 스텍과 큐를 합쳐놓은 느낌이다. 그러므로 두 가지 별칭이 있다. scroll : 한쪽으로만 입력이 가능한 덱 shelf : 한쪽으로만 출력이 가능한 덱 그럼 직접 다루는 Java에서의 덱은 어떻게 구현되어있을까? 일단 인터페이스로 구현된 Deque가 있고 그 밑으로 직접구현한 ArrayDeque LinkedBlockingDeque ConcurrentLinkedDeque LinkedList 등등 이 있다. 그러면 메소드를 보자 addFirst() : 덱의 앞쪽에 값을 넣는다. 덱의 크기를 초과할 경우 예외 발생 OfferFirst() : 덱의 앞쪽에 값을 넣는다. .. 2024. 4. 8. [자료구조] Queue에 대하여 간단하게 큐(Queue) 는 무엇일까? 우리가 맛집에 줄을서게되면 한 줄로 쭉 서게 되는데 그럼 먼저 줄을 선 사람이 먼저 먹게되겠죠? 아니면 편의점에서 음료를 살 때 음료들이 한 줄로 쭉 이어져있죠?? 이것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큐(Queue)의 개념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편의점에 음료가 쭉 이어져 있을 때 우리는 가장 앞에 있는 음료를 집게되고 음료가 빠지면 편의점 사장님이 음료를 넣어서 채워놓을 겁니다. 이렇게 먼저 들어간 자료가 먼저 나오는 구조를 FIFO(First in First Out) 이라고합니다. 한국말로는 선입선출이겠죠? Queue(큐)의 특징 선입선출, FIFO구조이다. 큐의 제일 앞 쪽은 front이며 삭제 연산만 수행한다. 큐의 제일 뒤 쪽은 rear이며 삽입 연산만 수행한다. .. 2024. 2. 17. [자료구조]Java Collection에 대하여 오늘은 글을 쓰지 않은 이틀 동안 배운 자바의 프레임워크 중 Java Collections Framework(JCF)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Collection이란? Java에서 Collection은 데이터들의 집합소라고 보면 된다. -> 그럼 무슨 특별한 데이터길래 집합해서 따로 모아놓은 거야?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럼 무슨 특별한 데이터인지 쉽게 알아보자. 현실세계의 정리방법, 효율적인 운영방법 이런 것들을 데이터 세계로 옮길 때 어떻게 해야 데이터 세계에서 효율적으로 정리, 활용이 가능할까 하며 천재들이 생각한 방법이다. 우리는 이것을 자료구조라고 부른다. 각 자료구조들마다 특징이 있다. 순서를 잘 지키는 녀석.. 검색이 빠른 녀석.. 저장을 잘하는 녀석... 등등 비유는 여기까지 하고.. 2024. 2. 7. 이전 1 다음